旅行

난고 김병연[영월]

晩霞(만하) 2005. 10. 9. 23:02

 

 

 

 

 

 

 

 

 

 

                                                                                                    

방랑시인 난고 김 삿갓[金炳淵]을 기리는....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에서는

삿갓에 봇짐하나 메고 산천을 벗 삼아 떠돌며 해학과 풍자로

한시대를 풍미햇던

방랑시인 김삿갓의 시혼을 다시 한번  느끼며 

잠시나마 요즈음의 번잡한 일상을 벗어날수 있는  

"제 8 회 난고 김삿갓 문화 큰잔치" 가

2005. 10 . 7. ~ 10. 9.까지 유적지에서 개최되었다. 


마지막 날에는 떡만들기 체험장에서

와석리 부녀회측이  직접만든 인절미를 참가자 전원에게

무료로 나누어주는 인심이  더욱 보기가 좋다.

       

영월군 하동면 와석리 노루목에 위치하고 있는 난고 김병연의유적지는 차령산맥과

소백산맥 준령의 북단과남단에 위치하며,

경북 영주시와 충북 단양군과 경계를 이루는 3도 접경지역으로

산맥의 형상이 노루가 엎드려 있는 듯한 모습이라 하여 노루목이라 불려오고 있다.

유적지내에 흐르는 '곡동천'은 여름철에는 유리알처럼 맑고 풍부한 수량이

기암괴석 사이로 넘쳐 흐르고 가을에는 형언각색 단풍으로 인하여 보는 이의

가슴을 평온하게 만들어 주는 신비로운 곳이다. 이처럼 산자수려한 고산준령 풍운속에 청운의 푸른 꿈을 접고

해학과 재치와 풍류로 한세상을 살다간 조선 후기 방랑시인이자 천재시인

김삿갓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난고 김병연 묘소와 주거지가 있다.

난고 김병연 원래 전라도 동복(지금의 전라도 화순군)에서 돌아가셨지만

아버지 를 찾아 전국을 떠돌던 둘째 아들 익균이

주거지인 하동면 노루목 바로 이 곳 골짜기에 묻어 주었으며,

그의 묘소는

1982년 영월의 향토사학자 정암 박영국선생의 노력으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김삿갓의 시대 정신과 "문화예술 魂"을 추모하고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 하고,

산자수명(山紫水明)한 김삿갓 계곡을 자연문화의 중심지,

문예인의 순례지, 김삿갓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하는 시선(時仙)으로 승화시켜 문화관광자원을 널리 알리기위해

지난 `98년도부터 매년 10월초에는 "난고 김삿갓문화큰잔치"가 개최된다.

김병연(1807-1863; 순조7-철종14)은

선천의 부사였던 조부(祖父) 김익순이 홍경래의 난 때 투항한 죄로 집안이 멸족을 당하게 되자

노목 김성수의 구원으로형 김병하와 함께 곡산(谷山)에 숨어 살 았다. 그

러나 김익순에 대한 문제는 본인에게만 묻고 가문을 폐문한다는

조정의 결정이 알려지면서 모친과 함께 황해도 곡산을 떠나 할머니가 계시는 광주를 걸쳐 이천,

가평을 전전하다가 평창 을 걸쳐 영월에 정착하게 되었다.

당시 반역죄로 인한 죄는 거의 연좌죄로 처벌을 받아 가문의 3대를 멸족하는 것이 통례였다.

그러나 이들 모자가 처벌되지 않았던 것은

당내 실권세력이 안동 김씨였기 때문에 이들 모자가 생명을

연장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이렇게 김병연의 모자는

목슴을 연명할 수 있었으나 떳떳 한 사대부로 지낼 수 없는 실정이였다.

명색이 반역죄로 조부인 김익순이 능지처사를 당하였고 집안이 폐적을 당했기 때문이다. 문중에서 거의 추방된 이들 모자는 위와 같은 이유로 산 속 깊은 곳에서

권문세족임을 밝힐 수 없이 살아가야 했다.

영월에서도 가장 인적이 드문곳을 택하여 생활하면서 班家의 기풍과 안목을 갖춘

김병연의 어머니 함평 이씨는 자식들에게 글을 가르쳤다.

가문의 내력에 대한 소상한 진상을 알지 못한채 학업에만 정진을 하여 온

김병연은 훗날 영월도호부 과거(백일장)에 응시하여

"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 牛天" 이라는 시제아래 장원급제를 하였다.

위와 같이 뛰어난 글 솜씨로 장원을 하게 된 난고 김병연은 어머니로부터

집안내역에 대한 일들을 전해 듣고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감과 폐문한 집안의 자손이라는 멸시로 인해

20세 무렵 처자식을 둔 채 방랑의 길을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난고 김병연은 죄인의식으로 푸른 하늘을 바로 볼 수 없다 하여 삿갓에 죽장(竹杖)을 짚은 채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던 것이다. 금강산 유람으로 방랑의 생활을 시작하여 서울, 함경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경상도, 전라도, 평안도, 제주도를 돌았으며 도산서원 아랫마을과

황해도 곡산 등지에서 몇 해 동안 훈장생활을

하였다. 그러다가 전라도 동복땅에서 한 많은 삶을 마감하였다.

 


 

DSCN1119.JPG
0.0MB
DSCN1139.JPG
0.0MB
DSCN1145.JPG
0.0MB

'旅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웰컴투 동막골"[평창]  (0) 2006.01.07
산사의 가을(갑사)  (0) 2005.11.08
7회 효석문화제  (0) 2005.09.04
中國 西安 秦始皇陵050504  (0) 2005.05.04
中國 西安 兵馬俑050504  (0) 200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