엣 철원 노동당사 전경
2016.12.15. 아침 아내와 단 둘이서
눈내린 들판에서 겨울을 느껴 볼 심산으로
집을 나서 자유로 .37번국도.를 따라 포천 이동에 이르자
주변엔 꽤 많은 눈으로 온통 겨울 속으로 들어 온것 같다.
백운 계곡을 들러 45 년전
군 복무시 유격 훈련장 이었던 산정호수를 경유하며
그때 그 시절을 회상해 본다.
신철원(철원군청 소재지)에 있는 가끔씩 들려 보던
"철원 막국수 집에서 점심 식사를 한다음
노동당사로 출발...
가는 길은 그대로 인데
훈련으로 포성이 멈추지 않던 당시
넓디 넓었던 포 사격장은 보이지도 않는다
문혜리 사거리를 지나 동송읍으로 가는 길에
길다면 긴 시간 내젊음과 과 함께 했던 부대(포병 대대) 뒷 산이 보인다.
반갑다기 보다는 먼 옛날 이야기 쯤으로 생각이 든다.
ㅎㅎㅎ 문헤 사거리 부근의 "문혜 초등학교"는 아직 그대로다.
예전과 달리 한탄강
" 승일교"와 떨어진 곳으로 도로가 개설 돠어 있어 지나가볼 수 없어 아쉽다.
시간적인 준비 없이 즉흥적으로 다니다 보니
아쉬움은 늘 따라 다닌다.
철원 평야를 가로 질러 (사실 일부분 이지만)20여분을 달려
아무도 찾는 사람 없는 겨울속의 "노동당사"에 도착하니
전과 달리 넓은 주차장도 마련되어 있다.
추운 날씨 속에 이곳 저곳 카메라로 슬픈 역사의 상징인
"노동당사"의 모습을 담아본다.
지금도 6.25 당시의 포탄과 총탄 자국등 전쟁의 상흔이 그대로 남아 있는
상처 투성이의 건물은 썰렁하다 못해 찬바람 탓인지 마음 마져 시려온다.
붉은 해가 서산 마루에 여운을 남긴다.
우리는 서둘러 연천. 파추 자유로를 거처 집에 도착
오늘 하루를 마감해 본다.
"옛 철원 노동당사" 는 북한 정권하인 1946년초 건축 당시
마을 1개 리마다 쌀 200 가마씩의 모금. 강제 노력 동원으로 건축하였으며
완공후 1947년초부터
이 당사에서는 중앙당으로 부터 지령되는 극비사업.
철원, 김화, 평강, 포천, 연천지역 주민들의 동향 사찰.대남 공작등
중부 지역의 주요 업무를 관장했던 곳이다.
철원 출신 "정호근" 시인의 대표작
"지뢰 꽃" 시비가 당사 앞 우측에 서있다.
우리네 역사가 말해 주고 있는데 사실 아는이 얼마나 될까?
이겨울에 찾아온 내마음이 아프다.
지 뢰 꽃 / 정춘근
월하리를 지나
대마리 가는 길
철조망 지뢰밭에서는
가을꽃이 피고 있다
지천으로 흔한
지뢰를 지긋이 밟고
제 이념에 맞는 얼굴로 피고 지는
이름 없는 꽃
꺾으면 발 밑에
뇌관이 일시에 터져
화약 냄새를 풍길 것 같은 꽃들
저 꽃의 씨앗들은
어떤 지뢰 위에서
뿌리내리고
가시철망에 찢긴 가슴으로
꽃을 피워야 하는 걸까
흘깃 스쳐 가는
병사들 몸에서도
꽃 냄새가 난다
한겨울의 매점에도 인적은 보이지 않는다.
문화 해설사의 집
겨울임을 말해주는 고드름이
구 철원군 도로원표 안내문
일제 시대에 세워진 구 "철원군 도로 원표"
도로의 기점.종점.경과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로 원표의" 위치는
도청.시청.군청등 행정의 중심지.교통의 요중치.역사적.문화적 중심지로 정하도록 되어 있어
원표가 위치한 곳은 역사적으로도 도시의 중심.교통의 중심 지역 었다 .
노동당사 앞 도로를 경유 전방으로 출입하는 도로의 군 초소
눈내린 도로변의 풍경
제설 작업으로 차량 운행에는 지장이 없다.
포천 이동에서 노동 당사로 가는도중 점심은 1년여 만에 철원군 갈말읍에 위치한 50년된 막국수집에서
막국수를 비비다가 아차 싶어 폰으로 사진 한장
창시자인 할머니는 작년에 작고 하시고 이제는 참 인상이 좋으신 아드님이 대를 이어 운영하고 있다.
'日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영 장사도로[통영] (0) | 2017.01.28 |
---|---|
통영을 찾아서[통영] (0) | 2017.01.28 |
회룡대에서 삼강 주막까지 (0) | 2016.11.28 |
회령포를 찾아서 (0) | 2016.11.28 |
화진 해변에서 주산지까지 (0) | 2016.11.28 |